본문 바로가기
끄적끄적/모아모아

기악곡 구분

by 튼튼이쑥 2022. 2. 13.

Sonata: 3부 형식곡이 발달된 기악곡의 형식. 기악을 위한 독주곡 또는 실내악 http://naver.me/IIqDXkyr ※Cantata: 17세기 초엽에서 18세기 중엽까지의 바로크시대에 가장 성행했던 성악곡의 형식
Concerto(협주곡): 화려한 연주기교를 구사하는 독주악기와 관현악을 위해 작곡된 기악곡
Symphony(교향곡): 관현악(orchestra)의 합주를 위해 작곡한 소나타 ※'심포니의 아버지' 하이든
Nocturne(야상곡): 낭만파시대에 주로 피아노를 위하여 작곡된 소곡
Prelude(전주곡, 서곡): 종교적 · 세속적 음악에 있어서, 개시 또는 도입의 역할을 하는 악곡
Waltz: 18세기 중엽 오스트리아 및 바이에른 지방에서 유래한 민속춤곡 ※‘왈츠의 왕’ 요한 슈트라우스 2세
Fantasie(fantasia, 환상곡): 형식에 구속을 받지 않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창작한 낭만적인 악곡
Impromptu(즉흥곡): 악흥이 솟는 대로 작곡한 낭만파 특유의 한 형식
Etude(연습곡): 테크닉 연습을 목적으로 씌여진 곡 ※교본은 메소드(method)라고 한다.
Mazurka(폴란드 무곡): 백파이프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는 폴란드의 민속 무곡 ※Polonaise: 3/4 박자의 폴란드식 귀족적인 춤곡, Bolero(스페인 무곡): 에스파냐의 춤곡, Gavotte: 2박자 또는 4박자의 프랑스 고전 춤곡, Polka: 2/4 박자의 보헤미아 춤곡

'끄적끄적 > 모아모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slands  (0) 2022.03.06
등대 색깔  (0) 2022.03.03
오미크론 대비 상비약  (0) 2022.02.10
차례  (0) 2022.02.01
한국의 과자: 과줄  (0) 2022.02.01